주식

써클(CRCL) 상장 이후 주가 폭등! 더 오를까? 써클주가전망 총정리

Yeah Kim 2025. 6. 10. 13:06

 
2025년 6월 5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인 써클(써클인터넷그룹)이 뉴욕증권거래소에 ‘CRCL’이라는 티커명으로 정식 상장했는데요. 이 상장은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시장을 연결하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특히 상장 첫날, 써클 주가는 공모가 대비 무려 168% 급등하는 폭발적인 상승세를 기록했고, 이후에도 꾸준한 관심과 거래가 이어지며 시장의 뜨거운 반응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한 일시적 열기를 넘어, 써클의 비즈니스 모델과 향후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써클의 상장 이후 주가 흐름은 물론,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와 사업 전략, 그리고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리스크 요인과 중장기적인 전망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해볼께요!
 

목차

상장 첫날과 그 이후 주가


흐름 사업 모델 & 수익 구조


리스크 분석: 금리, 경쟁, 규제


투자자 관점에서의 포인트


결론: 지금 매수 적기인가?

 

1. 상장 첫날과 그 이후 주가 흐름

 
써클은 2025년 6월 5일 상장 첫날, 시초가 69달러로 출발해 장중 103.75달러까지 급등했으며, 종가는 83.23달러로 마감했했는데요. 공모가 31달러 대비 무려 168% 상승한 기록이라는 사실!!. 월스트리트저널, 인베스토피디아, 배런스 등 주요 외신들도 이를 주요 뉴스로 다룰 정도로 핫한 주식입니다!


상장 둘째 날(6월 6일)에도 상승세는 이어져, 종가 107.70달러를 기록하며 추가 29% 상승했는데요. 이틀 만에 주가는 공모가 대비 3배 이상 뛰었습니다.


6월 9일 기준, 주가는 115~117달러 사이에서 등락하며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상장 직후 써클은 단순한 기술기업 IPO가 아닌,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을 잇는 핀테크 대장주로 자리 잡으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중입니다!
 


 

2. 사업 모델 & 수익 구조

 
써클의 핵심 사업은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과 운용인데요. USDC는 1달러에 고정된 디지털 자산으로, 사용자들이 맡긴 달러 준비금미국 단기 국채 등 안전자산에 투자되어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로 인해 써클의 수익 대부분은 이자 수익에서 발생합니다. 실제로 2024년 전체 매출의 98% 이상이 이자 수익에서 나왔습니다.
 

2024년 전체 실적:매출 약 16.8억 달러, 순이익 약 1.56억 달러

 

2025년 1분기 실적:매출 5.79억 달러,  순이익 0.65억 달러

 
이처럼 수익 구조가 금리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연준의 기준금리 변화가 써클의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금리가 높을수록 더 많은 이자 수익을 얻지만, 금리 인하 시 수익 감소 가능성이 커지는 구조라는 사실!!
 


3. 리스크 분석: 금리·경쟁·규제

 

금리 리스크

써클 수익의 대부분은 미국 국채 이자 수익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연준의 금리 정책에 매우 민감한데요.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0.25% p만 내려가도, EBITDA 기준 약 1억 달러 규모의 수익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 시 실적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경쟁 심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는 써클의 USDC가 점유율 2위지만, 1위는 테더입니다. 테더는 유통량과 글로벌 거래소 채택률에서 여전히 우위를 점하고 있는데요.
또한 페이팔의 자체 스테이블코인 출시, 트론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성장 등 다양한 경쟁자들이 시장 점유율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어, 써클의 입지가 상대적으로 약화될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사실!
 

규제 변수

미국 연방정부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입법인(The Guaranteed Electronic National Income and Utility Stability Act)가 논의되고 있으며
해당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준비금 관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려는 것으로, 통과 시 써클과 같은 합법적 발행자에게 긍정적인 제도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4. 투자자 관점에서의 포인트

 
써클은 상장 직후 주가 급등으로 큰 주목을 받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밸류에이션과 수급 구조, 투자 전략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밸류에이션

현재 써클의 P/S(주가매출비율)는 약 9.8배, P/E(주가순이익비율)는 1,300배 이상으로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이는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상당 부분 선반영되었음을 의미하며, 향후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주가 조정 리스크가 클 수 있다는 사실!
 

수급 및 변동성

현재 시장에 유통 중인 주식 수가 많지 않아, 거래량 대비 가격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기관이나 고액 투자자의 움직임에 따라 단기 급등·급락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하네요.
 

투자 접근 전략

상장 직후 급등 이후 어느 정도 조정이 예상되는 시점에서는, 고점 대비 눌림목에서의 단기 반등을 노린 매매 전략이 유효할 수 있으며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5. 결론: 지금 매수 적기인가?

 
써클은 이미 상장되어 주가가 급등한 상태며, 풍부한 이자 수익 기반과 명확한 사업 모델을 갖추고 있으나
금리 정책과 규제 변화, 밸류에이션 부담은 향후 주가 향방을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
 
위험 선호 투자자는 변동성을 이용한 단기 투자 전략이 유효할 수 있고,
 
안정적인 수익 투자자는 금리와 규제 흐름을 지켜보며 중장기 분할 접근을 고려해 볼 만합니다!
 

써클현재주가보러가기